YoonC

[Git&GitHub] Git study 1WEEK 본문

Git&GitHub

[Git&GitHub] Git study 1WEEK

윤태풍 2021. 5. 5. 01:23

현대 개발 팀 프로젝트에서 버전관리와 클라우드 저장소는 필수 => 이를 통해 능률적인 협업 가능

 

💁🏻 Git과 버전관리

 따로 조금씩 작업하다가 내가 원할때 코드를 합치고 백업도 쉽게 도와주는게 Git 이라고 이해할 수 있음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음


 버전 관리 시스템 : 코딩할 때 단순히 이전으로 되돌리는 것이 아닌 원하는 시점마다 버전을 만들고 이들 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게 함.        

                            또한 동료와 내가 만든 버전으로 이동가능하며 동료와 비교해 최신본으로 코드 업데이트 가능

 

 Git을 쓰려면? 저장할 공간만 있다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 (예. 개인 컴터, USB, 회사 서버, 클라우드 (Github))

 

 Git으로 버전 관리한 코드를 올릴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 GitHub(비공개 저장소 3인 이하만 무료), GitLab, BitBucket 등이 있음

 


💁🏻 Git&GitHub 시작하기 with CLI

 Git 초기화와 로컬 저장소


   - 깃 초기화 : git init=> 숨겨진 .git 폴더(로컬저장소) 생성

   - 로컬저장소에 내가 만든 버전 정보, 원격 저장소 주소 등이 저장

  ⭐️ 단!!!  한 폴더에 하나의 로컬 저장소만 유지해야함

 

 

 

 Git 첫번째 버전 만들기

 

  - 덩어리 : 하나의 버전 = Commit (커밋으로 잘게 잘게 쪼개두면 망했을 경우 잘되었던 부분으로 돌아가는것이 가능)

  - 커밋으로 만들기 원하는 파일만 선택 : add
  - 커밋은 ‘의미 있는 변동사항’ 을 묶어 만들어야 함 (예로 버튼 클릭 버그 고치는데 5가지 파일 수정 -> 5개 묶어 커밋)

  - 커밋은 기차처럼 쌓여서 코드의 흐름을 볼 수 있게 함

  - commit -m : 커밋 메세지 작성

 

 

 만든 버전 GitHub에 올리기 

 

  - 로컬 저장소 : 나만 볼 수 있음 , 원격 저장소 : 협업을 위해 필요함 
  - 로컬 저장소 -> 원격 저장소 : git push 
  - New repository 로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함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url

 

(내 컴퓨터 cat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 받아오기

 

  - 원격 저장소의 코드를 내 컴퓨터에 받아오기 : 클론(clone)    # 이때 로컬저장소(.git) 자동 생성

  - 업데이트 된 데이터 가져오기 : 풀(pull)                                

  - 원격 저장소에 push 하는 것은 권한있는 사용자만 가능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