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Push
- HTTP
- udemy
- nodejs
- IOS
- commit
- Github
- mysql
- create UI
- APP
- BOJ
- SWIFT
- remote : Invalid username or password
- SourceTree
- 파이썬
- 백준
- algorith
- functinon
- 알고리즘
- 소스트리
- Listing Data on IOS
- 잃어버린괄호
- git
- 풀리퀘스트
- Nodejs 교과서
- 푸쉬오류
- Mac
- 깃
- REST
- Today
- Total
목록Develop/Javascript (3)
YoonC
async & await 프로미스 체이닝을 계속 하다보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짐 async 와 await는 Promise를 간결/간편하고 동기적으로 실행되는것 처럼 보이게 만들어주는 API => 그렇다고 무조건 사용하는건 X async 와 await는 기존에 존재하는 Promise 위에 조금 더 간편한 API를 제공함 이런 것을 syntactic sugar 라고 한다 (Class도 해당) 1. async - 기존 방식 function fetchUser(){ //do network request in 10s..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return 'dada'; > promise가 pending 상태로 남아있게된다. //***** executor 함수 안에..
💁 Promise 프로미스는 JS에서 제공하는 비동기 코드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object. 프로미스는 어떤 기능을 실행하고 나서 정상동작시 성공메세지 + 함께 처리된 결과값 전달//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시 error전달 State: pending(보류) → fulfilled(성공적인 완료) or rejected(거부) Promise의 object인 Produce vs Consumer 1. Producer (생산자) 프로미스는 클래스여서 new라는 생성자로 생성가능 프로미스는 executor 란 콜백함수 전달해줘야하며 이것은 두가지 콜백함수를(resolve, reject) 다시받음 프로미스를 만드는 순간 executor란 콜백함수 바로 실행 const promise = new Promi..
1. var, let, const - let : (ES6에서 추가된 것) - var대신 let을 쓰는것을 권장 - var : ( 매우 유연. 단점으로 var hoisting. 블럭스콥을 무시하므로 위험부담존재) - const : r(read onlty), 가능한 const를 사용하고 변수를 변경해야 할 경우에만 let const 자료형을 선호하는 이유 : security, thread safety, reduce human mistake 2. Block scope - global 한 변수들은 메모리에 항상 탑재되어있어 최소화시키는 것을 권장 let globalScope = 'global name'; //괄호 밖의 할당한 변수들은 global scope로 괄호 안 밖에서 모두 사용 가능 { let name ..